에세이 한 편

시는 상징이다/ 김주연(문학평론가)

검지 정숙자 2022. 2. 25. 23:56

 

    시는 상징이다

 

    김주연/ 문학평론가

 

 

  상징이 뭘까. 아주 쉽게 말해서, 그 글에서 쓰여진 언어가 지시어指示語가 아닌, 지시된 사물과는 다른 의미를 갖고 있다는 것. 혹은 추상어를 구체적인 사물로 표시하는 것. 가령 사람을 보고 "당신은 꽃이다"라고 적는다면, 당신 곧 꽃이라는 사물이 아니라 꽃과 같은 사람이라는 뜻이다. 이때 "당신은 꽃과 같은 사람이다"라고 적는다면 그것은 시가 아니다. 적어도 '시적詩的'이지는 않다. 너무도 당연해 보이는 이런 말을 새해 아침부터 늘어놓는 까닭은? 수만 명을 헤아리는 시인들이 우리 시단을 풍성하게 햐주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징의 빈곤, 그 상징을 가능케 하는 상상력의 결핍을 느끼기 때문이다. 상징과 상상력은 궁핍한데 시와 시인은 많다? 대체 어떤 시와 시인들일까.

  물론 상징은 하나의 어휘로만 나타나지 않는다. 어휘들이 합쳐진 문장으로, 또 문장들이 모인 더  큰 패러그래프를 이루면서 상징의 숲을 만들기도 한다. 그 숲이 풍요로울수록 우리는 시인이 깊고 오묘한 상상력 속으로 들어가서 현실에서 맛볼 수 없는 새로운 세상을 경험한다. 기계가 만들어내는 3D, 4D 아닌 언어의 nD 세계를 누린다. 시가 주는 행복이다.

 

  내 입술에서 네 입을,

  성문 앞에서 이방인을,

  눈에서 눈물을 찾지마라.

 

  일곱 밤 더 높이 빨간색이 빨간색으로 뒤바뀌고,

  일곱 가슴 더 깊이 손길은 성문을 두드리고,

  일곱 장미 핀 다음에야 샘물은 소리 내고  흐른다.

      -전문, 파울 첼란 「크리스탈」

 

  단어 하나하나 그리고 한 행 한 행 상징으로 생각하지 않고서는 이해되지 않는 시다. 그러나 얼마나 흥미로운 깊이로 우리를 이끄는가. 시는 이렇듯 해석해 보는 재미와 함께 이해된다. 무조건 난해한 시는 곤란하지만 아무 상징의 날개 없이 평면의 지상에서 산문적 이동만 하는 시가 쉬운 시로 용인되어서도 딱하다. 위의 시만 하더라도 첫 연에 나오는 입술이나 입, 성문, 이방인, 눈, 눈물은 모두 상징이라고 할 수 있다. 그것들은 사랑의 만남과 이별을 말해주면서 두 번째 연으로 의미를 연결시켜준다. 예컨대 첫 연 첫 행에서의 입맞춤은 둘째 연 첫 행에서 빨간색의 교차, 즉 키스로 실현된다. 다음 행, 성문을 두드리는 손길은 무엇인가. 은유의 낱말들로 이루어져 있지만 결국 더 깊은 욕망의 상징 아닌가. 마침내 그 욕망은 마지막 행에서 장미를 피우고 샘물을 터지게 한다.

  이 시를 이렇게 읽으면 더할 나위 없이 아름다운 그리고 다소 격렬하기까지 한 사랑의 시로 보인다. 일곱 밤, 일곱 가슴, 일곱 장미는 얼마나 상징적으로  야한 장면을 고양高揚시키고 있는가. 육체적인 사랑의 현자에 영혼의 교류를 함께 승화시키는 이러한 모습 속에 시의 힘, 상징이 힘이 숨어 있는 것이다. 이 시는 '일곱  '이라는 숫자를 통해서 '완성'의 이미지 상징을 이끌어내고, 그것이 사랑하는 연인들 한 쌍의 완성이라는 의미를 수행한다. 더 나아가 이 시의 절묘한 상징성은 그것이 유토피아의 출현을 예감케 하는 결정체, 크리스탈과 연결되고 있다는 점이다. 시의 상징은 그것을 구축해 나가는 시인이 풍부한 상상력 그리고 역추적해가는 독자의 흥미로운 분석과 시독법詩讀法 양쪽에게 '시란 무엇인가'라는 아름다운 정신의 충격을 준다. 시와 시인이 무시당하지 않고, 존경받고 존재하는 이유다. ▩ (p. 03)

 

             (문학평론가 · 숙명여대 명예교수 · 대한민국예술워 회원) )

 

  -----------------------

  * 『문학의 집 · 서울』 2022-1월(243)호/ <문학의 향기> 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