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화집에서 읽은 시 1120

땅에서 하늘로/ 최영화

땅에서 하늘로      최영화    어릴 때 방에서 타고  마당에서 타던 세발자전거  아이들 자라자 천덕꾸러기 되어  처마 아래 구석진 곳 주차장이다   색 바래 남루한 몰골  세 바퀴 바람 가득 안고  옛 친구 만나 달리고 싶고  같이 지내고 싶다고 소리친다   버리려 대문 밖 들고 나가니  내리막 삐걱거리며 우는 바퀴  아이들 웃음소리 들리는 듯  까까거 까꺼거 크르릉   나무 사이 긴 장대 묶고  동아줄로 그네 걸었다  신나게 하늘로 솟구쳐 오른다  땅에서 하늘로 바뀐  빈 마당   -전문(p. 34)   -------------  * 시목문학 제6집 『물을 돌리다』에서/ 2024. 7. 30. 펴냄   * 최영화/ 2017년『문예춘추』 & 2022년 『상징학연구소』로 등단, 시집『처용의 수염』『..

바다 로또/ 임성화

바다 로또      임성화    조간신문 사회면에 고래가 나타났다   물길을 잘못 들어 그물코에 걸린 걸까   몸 곳곳 작살 흔적은 어디에도 없었다   만면에 옷음 띠고 지폐 헤는 늙은 어부   벼락을 맞기보다 더 힘들다 하는데   조상이 돌봤나 보다 일확천금 누렸으니   어젯밤 엄마 고래 새끼 울음 들었을까   고향길 거친 물살 길 잃어 더듬다가   반구대 조상들 서책 읽기 전에 눈감은      -전문(p. 29)    -------------  * 시목문학 제6집 『물을 돌리다』에서/ 2024. 7. 30. 펴냄   * 임성화/ 1999년 ⟪매일신문⟫ 신춘문예로 등단, 시집『아버지의 바다』『겨울 염전』, 동시조집『뻥튀기 뻥야』

무첨(無添)/ 박산하

무첨無添      박산하    물봉골, 산정호수  숱한 발자국에도 수면은 구겨지지 않고  물길은 골목으로 이어져 흐르고   흰옷 입은 호수 주인  친정 상이 났다며, 기어이 사진을 찍지 않는   가을이 호수에 담기고  호수가 만든 도토리 묵향, 접시에 담기어 손님을 맞는다   백 번을 참는 호수와  욕될 수 없다는 호수가 앞서거니 뒤서거니  그 물길 아직도 단정하게 흐르는   돌담장  쪽문  누마루가 호수에 비치고   저 아랫동네 어디쯤엔  은행나무 하나가 속을 다 내어 주고 껍질로 산다던데     -전문(p. 26)   -------------  * 시목문학 제6집 『물을 돌리다』에서/ 2024. 7. 30. 펴냄   * 박산하/ 2014년『서정과 현실』로 등단, 시집『고니의 물갈퀴를 빌려 쓰다』『아..

스페인 산티아고 순례/ 구광렬

스페인 산티아고 순례     구광렬    뿌리의 무사無事를 위해 그루터기를 살피면 삐쭉 마른 가지 위에 앉았던 이방의 텃새들 후루룩 천장 위로 오르고 밤새 잡풀들 침대 난간을 감아 종교재판을 받는 조수의 손금 같은 잎맥들을 발트해의 칙칙한 늪지대로부터 걷어 올려야먄 한다   비가 빗금을 그으며 내릴 땐 처마가 짧은 내 작은 방에선 침대 모서리를 옮겨도 도굴을 당한 듯한 머릿속이 흥건히 젖어 와 동전을 뎐져 앞뒤를 가리고픈 날엔 그 카드 벨 같은 콜록거림, 대기원 속살을 비집고 멀리 고향 어느 별자리쯔음 쨍해 주길 바란다     예수의 열세 번째 제자를 만나고 돌아오던 날, 꺼질 듯 말 듯 개척교회 십자가가 바랜 셔츠 아래 문신으로 찍히던 날, 보았다 넝쿨 끝에 핀 꽃불 하나, 지구 반 바퀴를 돌고 돌아오..

구름이 들려주는 시 외 1편/ 정우림

구름이 들려주는 시 외 1편      정우림    초원에서는 구름이 말을 한다지 그 말귀를 잘 알아들은 말과 양 떼가 그 노래를 따라 부른다지 야크는 천천히 걸으면서 읊조린다지 눈 속에서 꽃대를 밀어낸 에델바이스가 여름의 눈썹으로 피어난다지 그렇게 천천히 푸른 풀밭을 산책하며 건너간다지 짧은 여름이 온다지 구름이 말을 건네면 풀을 뜯는다지 향기 나는 꽃은 먹지 않는다지 오물거리는 입가에 향기가 묻어난다지 구름은 어린아이 발자국을 따라간다지 바람의 손을 잡고 오래 기다린다지 밤에는 별의 어깨를 두드려 주고 그러다가 울기도 한다지 구름의 틈 사이로 번개를 치고 비를 쏟아 낸다지 아주 멀리서 다가온다지 구름은 초원을 어루만진다지 때론 빠르게 때론 무섭게 두드리다가 초원이 깜짝 놀라 길을 내고 강을 만들게 한다..

손/ 윤정희

손     윤정희    곱지 않은 손이 부끄러워  숨기려고만 했다   우심방 좌심방 흘러내린 수맥은  木 火 土 金 水 月丘와 平原을 돌아  五岳의 봉우리에 대를 이은 지문이 맺혀   흐르다 불거진 산맥은  내 엄마 고단한 한생이 쌓인 굽은 잔등이   씨줄 낱 줄 난맥처럼 엉긴  골진 무늬는 제 살 파먹고 사는 게  인생이더라고 쓴웃음으로  퉁치던 내 아버지 얼굴   눈썰미 좋은 내손 횃불 하나 밝히질 못해  느릅나무껍질 같은  내 세월 읽다 보면 입안에 가시가 돋아  위로처럼 손톱 위에 돋 새긴 꽃들  가끔 별들의 입술이 머물다 갔지   솟았다 허물어진 산맥  갈기를 세운 사나운 바람에  나래가 꺾여도 돋아나는 맥박들  기도를 배우지 못한 손안에도  골골이 수맥은 돌아  새 움이 터지는 내 영혼의 눈 ..

아픔/ 문화인

아픔     문화인    길을 잃었나   내 앞에 굴러온   빨간  사과 한 알   어디서 온 줄도 모르는데   꽃이  어떻게 진 줄도 모르는데   아스라이  붉은 노을 한 섬   저리 흐르고 있다    -전문(p. 120) ---------------* 군산시인포럼 제4집『바다의 메일』에서/ 2024. 6. 5.펴냄  * 문화인/ 2012년 『한국시』로 & 2024년 『미네르바』로 등단,  시집 『언젠가』

이슬/ 나채형

이슬     나채형    초록빛 들녘 오길에  시간을 다듬어 사색을 좋아했어   네 잎 클로버를 찾으며   세 잎에 맺힌 맑은 아침  영롱하게 피어있던  토끼풀꽃 되었지   창가에 온종일 햇빛 먹은 카라  어둠이 차오르면 밤새워   생명의 눈망울  온 잎에 고귀하게 끌어안고   넘겨지는 숫자의  건반 따라  맑은 선율을 남기고 있어   또 하나의  가을을 보내기 위해서···    -전문(p. 110)   ---------------* 군산시인포럼 제4집 『바다의 메일』 에서/ 2024. 6. 5. 펴냄  * 나채형/ 2021년 『미네르바』로 등단, 시집 『사막의 보트 타기』

서산 삼존 마애불/ 김충래

서산 삼존 마애불      김충래    울 수 없게 태어나서  우는 방법을 모르지만  울지 않아도 삼키는 눈물  묵묵히 슬픔을 참는다   보는 중생마다  온화한 백제의 미소라 일컬어  흥망사에도 태연했지만  조금씩 망가지는 세월에  찡그릴 수 없어 웃는다   속이 시커멓게 멍들어도  미소만 띠며 천오백 년을  서 있는 탐진치의 삼존불   속울음 들을 수 있는 부처를  기다리며 또다시 천 년  맨몸으로 삼매경에 들지만  문드러지는 눈 코 입  풍경 속에서 내 몸도 웃음을 잃은  마애불로 가고 있다     -전문(p. 104)  ---------------* 군산시인포럼 제4집 『바다의 메일』 에서/ 2024. 6. 5. 펴냄  * 김충래/ 2022년『미네르바』로 등단

차영이의 칠월/ 김차영

차영이의 칠월      김차영    해 질 녘 모깃불 피워놓고  멍석 위에 둘러앉아 별을 먹던 시간이  절룩이며 걸어온다   마당 한쪽에 가마솥 걸어 놓고  사자라리 전갈자리 북극곰의 꼬리별까지  모두 잡아 솥 안에 넣는 어머니   허기진 배 부여잡고  배부른 달 쳐다보며 마른침을 삼키던  달의 살점을 한 움큼 베어내  질그릇 같은 손 그림자로  우주의 성찬을 짓던 어머니가  별이 되어 먼 행성으로 떠난   칠월이 오면  별빛이 살 속에 그리움으로  파고들어  그 슬픔 더욱 단단해지는    -전문(p. 96) ---------------* 군산시인포럼 제4집 『바다의 메일』 에서/ 2024. 6. 5. 펴냄  * 김차영/ 2021년『미네르바』로 등단, 시집 『미이라의 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