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교육에 있어서 은유, 상징, 알레고리의 위상(발췌) 이현승/ 시인 문학적 수사로서 은유와 상징은 이미 언어의 영역 안에서 설명되는 것이지만, 은유 자체가 서로 다른 두 관념의 차이성을 전제로 한다면, 상징은 이 차이가 힘을 잃고 근원적인 지시성만을 남길 때(권혁웅의 표현으로는 독립할 때) 만들어지는 것이다. 휠라이트가 강조하는 지속적인 반복은 은유를 상징으로 만드는 요소이다. 은유와 상징을 구분하는 오세영의 변별도 지금까지의 논의와 일치한다. 첫째, 은유의 경우 보조관념과 원관념이 될 수 있는 것들로는 관념과 사물이든 상관없지만 상징의 경우 원관념은 항상 관념이고 보조관념은 사물이다. 둘째, 원관념과 보조관념의 결합에 있어 은유는 일회적이지만, 상징은 반복적이다. 셋째, 상징은 일관성을 갖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