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지에서 읽은 시

문혜원_'그'를 기리는 '나'의 자리(발췌)/ 속속들이는 알 수 없어도 : 장이지

검지 정숙자 2020. 1. 10. 01:37

 

 

    속속들이는 알 수 없어도

 

    장이지

 

 

  나뭇가지를 오가며

  작은 새들이 서로 부르는 소리는

  한 마리 큰 새의 노래가 된다.

 

  밤의 들판을 기며 질질 짜는

  무명의 벌레들이 내는 소리는

  한 마리 큰 벌레의 슬픔이 된다.

 

  낱낱의 이름은 모른다.

  낱낱의 소리는 모른다.

  저마다의 조음기관을 속속들이는 알 수 없다.

 

  이상하다. 나는 내가 그 큰 새라고 느낀다.

  내가 그 큰 벌레라고 느낀다.

  내가 나무이고 밤의 들판이고

  소리의 알이라고 느낀다.

 

  속속들이는 알 수 없어도 알고 있는 것만 같다.

 

  발끝을 모으고

  조금은 옅어진 그림자를 내려다본다.

  끝나자마자 알게 될 낯선 음악을 아무렇게나 걸치고

  추운 하늘에서 가장 빛나는 별과 눈 맞춰본다.

     -전문,『문학과사회』2019-겨울호

 

 

  ▶ '그'를 기리는 '나'의 자리/ 자발적 유폐와 심미의 왕(발췌)_ 문혜원/ 문학평론가

  위의 시에서 화자는 작은 소리들을 모은 큰 소리가 곧 자신이라고 느낀다. 시인은 낱낱의 이름도, 낱낱의 소리도 속속들이 알 수는 없으나 그것들이 모아진 어떤 것을 느낀다고 했다. 이것은 오만일까?이 대목에서 주목할 점은, '큰 새'나 '큰 벌레'가 아니라 그렇다고 '느낀'는 것이다. 게다가 그것을 '속속들이는 알 수 없어도 알고 있는 것만 같다'는 것이다. 이는 시란 무엇인가에 대한 시인의 입장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점이다. 시란 어떤 사물이나 사건, 감정 등 대상을 '속속들이' 알아야만 쓰이는 것은 아니다. 이때 시인의 '앎'은 지식이나 이해가 아니라 어렴풋하게 그것을 감지하는 것 혹은 몸으로 그것을 감각하는 것이다. 즉, 시인으로서 장이지는 이성적인 사고가 아니라 직관과 감각에 의해 시를 쓴다는 것이다./ 그러한 시인이 작은 새들과 벌레들의 소리를 느낀다는 것은 '나' 안의 타자성을 인정한다는 것일까? 자신만의 고유한 미학을 구축하는 일에 집중해온 시인이 이제 타자와 더불어 사는 삶을 지향한다는 것일까?[p.225(詩)/p.227(論)] 

   

   ---------------

  *『문학사상』2020-1월호 <이 달의 문제작/ 시 부문> 에서

  * 문혜원文惠園/ 1965년 제주 출생, 1989년『문학사상』으로 평론 부문 등단, 연구서『한국 현대시와 모더니즘』『한국근현대시론』등, 평론집『돌멩이와 장미, 그 사이에서 피어나는 말들』『비평, 문화의 스펙트럼』등, 대담집『문학의 영감이 흐르는 여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