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발, 세 가지 수명이 똑같았으면!
안균세(수필가)
요즈음, 지인이나 후배의 문상을 하고, 상주에게 위로의 말을 할 때면, 고인의 연령에 따라 어떤 위로의 말을 해야 할지 고민스러울 때가 많다. 나이가 그 정도이면 오래 사셨다고 생각되어 "자식으로서는 안타깝지만 호상이니 슬퍼하지 마세요"라고 말하고 상주의 얼굴을 바라보는 순간, 상주의 얼굴은 굳어지고 기분이 좋아 보이지 않는다. 아차 실수했구나 싶어 어찌나 민망스럽던지, 간혹 그런 경우를 겪다 보니 문상 때마다 고민을 하게 된다.
호상(好喪)이란 살 만큼 살다가 돌아가셨다는 말로 천수를 누렸다는 뜻이다. 그래서 요즈음 문상을 갈 때, 80대 초반까지는 "너무 일찍 돌아가셨다"고 하고, 80대 중반이면 "좀 더 사셨으면 좋았을 텐데"라고 말하고, 90대 초반 이상이면 '호상이니 너무 슬퍼하지 마세요"라고 한다. 그런 위로의 말이 상주에게 도움이 되는지 안 되는지는 몰라도 내 나름대로는 적당하다는 생각에 기준을 정해 놓고 있다.
이렇듯 문상시의 위로의 말이 달라지게 됨은 인간의 평균수명이 늘어난 결과다. 이미 호모 헌드레드(Home Hundred, 100세 시대의 인간)란 말까지 생겨난 걸 보면, 이제 곧 90대에 돌아가셔도 호상이란 말을 함부로 하기 힘들게 됐다.
통상 평균수명이라고 부르는 기대수명은, 당해 연도에 태어난 아이가 평균적으로 살 수 있는 연령을 뜻하는데, 2015년 8월 3일 통계청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기대수명은 81.9세이며 남성 78.5세, 여성 85.1세로 여성이 남성보다 6.6세 오래 사는 것으로 나타났다.
1970년만 해도 62세밖에 되지 않았는데 10년마다 5년씩 늘어난 것이다. 이런 추세라면 2030년이 되면 평균수명이 90세 시대가 꿈이 아니라 현실화 될 것 같다.
그렇지만 인간의 생명에는 물리적 수명만이 있는 게 아니고, 사람답게 사는 것을 중시 여기는 풍조에 힘입어, 요즘 등장한 개념이 '건강수명'과 '경제수명'이다.
즉 사람의 삶이 그냥 육신만으로 지탱하는 것이 아니라면, 인간의 수명을 의학적으로 숨을 쉬는 것과 동일하게 볼 수는 없다고 보는 것이다.
건강수명은 말 그대로 신체적으로 건강한 나이를 말한다. 즉 암이나 반신불수, 치매 같은 중증만성질환 또는 신체적 정신적 장애 없이 과연 몇 살까지 건강하게 살 수 있는가를 나타내는 것이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사람의 건강수명은 72.3세다.
이 나이까지는 평균적으로 큰 병치레 없이 살다가 그 이후부터는 평균적으로 만성질환이나 장애로 고생하며 산다는 뜻이다.
또 하나의 수명인 '경제수명'은 노후를 대비해 모아둔 돈이 바닥나는 시점을 말한다. 서울대 노년은퇴설계지원센터가 최근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사람의 경제수명은 대략 75세로 나타났다. 이 연령대가 지나면 평생 아껴서 부족하지만 모아둔 돈마저도 다 써버려, 결국 자식이나 친지의 도움 없이는 생계가 불가능해 진다는 것이다.
이렇게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우리나라 현대인들은 평균수명 82세, 건강수명 72세, 경제수명 75세로 보편적으로 82세까지는 살지만 72세 이후 10년간은 병들어 아픈 노년을 보내야 하고, 75세 이후 7년간은 빈털터리나 다름없는 궁색한 노후를 보내야 한다는 이야기다.
평균수명이 늘어나 오래 산다는 기쁨도 잠시, 노년의 건강상태와 재정상태를 생각해 보면 가슴이 답답하고 우울하다.
앞으로 호모 헌드레드(100세 시대의 인간) 시대엔, 기대수명뿐만 아니라 건강수명, 경제수명도 함께 생각해야 한다. 분명 장수는 축복이지만 병고에 시달리는 장수, 가난에 찌든 장수는 그야말로 본인이거나 가족들에게 재앙에 가깝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금 경제적인 활동을 하고 있는 50대 이하 세대는 자신들의 준비와 노력에 따라 건강수명과 경제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겠지만, 우리 같은 세대는 불가능할지 모른다. 그래도 기대를 거는 마음은 숨길 수가 없다.
나의 기대는 건강, 경제수명이 제발 똑같았으면 하는 마음이기에 종종 하늘만 바라볼 뿐이다. ▩
---------------
*『문학의식』 2016-가을호 <수필>에서
'에세이 한 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는 다른 장르의 책이다/ 전승환 (0) | 2016.10.19 |
---|---|
두 켤레 구두/ 송순례 (0) | 2016.10.10 |
50년 만의 축의금/ 김정자 (0) | 2016.10.08 |
해설_도덕적 진실의 발견과 절제된 서정적 산문/ 이태동 (0) | 2016.10.06 |
이태동_해외 수필 읽기/ 오카 강변을 여행하면서 : 솔제니친 (0) | 2016.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