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 파트의 글

『계간 파란』2016 여름호 - 시론(발췌)

검지 정숙자 2016. 8. 15. 23:36

 

 

    『계간 파란』 2016 여름호            시론

 

 

    issue  시론(발췌)

 

 

 

  허만하: 시는 제도로서의 언어의 두꺼운 포위를 탈출하는 능력이다. (p-22)

 

  정현종: 『중용』26장 「지성무식장(至誠無息章)」같은 것은 또한 시에 관한 말로 읽을 수 있으니 참고해도  좋지 않을까 한다. (p-26)

 

  문정희: 시는 미완(未完)을 전제로 한 언어예술이다. (p-33)

 

  이하석: 시는 시인의 삶에 기반을 둔 말의 운용이다. (p-42)

 

  원구식: 시는 결국 관념이고, 관념이라는 것은 결국 상징이라는 뜻이다. (p-56)

 

  백무산: 이 몸 밖에서 이 현실 밖에서 얻을 수 없는 것이 시라고 나는 믿는다. (p-71)

 

  송재학: 모든 시들 속에는 필연적으로 시론이 스며 있다. (p-86~87)

 

  허수경: 수많은 우연의 순간들에서 시는 나온다. (p-94)

 

  오정국: 시인이 지향하는 시는 형상 저편의 이데아이다. (p-100)

 

  나희덕: '시'는 "독백도 대화도 될 수 없는 것 / 비명이나 신음, 또는 주문이나 기도에 가까운 것"이 된다. (p-117)

 

  박용하: 시인은 먼저 고통하는 자다. (p-129)

 

  이 원:  자극 - 행동이 나의 패턴이다. (p-136)

 

  함기석: 지상의 모든 풍경은 비유 없는 시다. (p-152)

 

  이수명: 시는 밤을 추가한다. (p-159)

 

  김 참: 시는 낯익은 세계를 파괴한다. (p-173)

 

  정재학: 절대적인 시의 본질은 없다. (p-180)

 

  김 언: 시는 계속 움직이는 무엇이다. (p-198)

 

  이재훈: 시의 유일한 고전은 자연이다. (p-216)

 

  이영주: 시는 가닿을 수 없기 때문에 쓰인다. (p-225)

 

  이준규: 시는 수학이 아닌데, 어떤 수학이 필요하다. (p-223)

 

  신동옥: - 시란 정신의 결정이고 영혼의 읊조림이다. (p-253)

 

  신영배: 시는 시의 순간을 살며 사라진다. (p-259)

 

  이현승: 시는 문제의 편에서 존재와 세계를 본다. (p-275)

 

  장석원: 시인은 모국어조차 시로 번역하는 자이다. (p-284)

 

  이근화: 시는 "실망의 가벼움을 재산으로 삼을 줄 알"게 해 주는 데 그 의의가 있는 것 같다. (p-298)

 

  정한아: 시를 쓰는 시간과 시를 논하는 시간은 아주 다르다. (p-306)

 

  이제니: 간신히 말해 볼 수 있는 어떤 한 자리. 바로 그곳에 시가 있다. (p-313~314)

 

  정영효: 시는 어떤 것의 최상위에 놓이지 않는다. (p-331)

 

    --------------

   * 『파란』2016-여름호 <issue 시론>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