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와미학』2015-가을호「다시 여는 페이지- 최형심 단평」
김태정
김사인
1.
올 밑의 봄동이나 겨울 갓들에게도 이제 그만 자라라고 전해주세요
기둥이며 서까래들도 그렇게 너무 뻣뻣하게 서 있지 않아도 돼요 좀
구부정하세요
쪽마루도 그래요 잠시 내려놓고 쉬세요
천장의 쥐들도 대거리하는 사람 이제 없다고 너무 외로워 마세요
자라는 이빨이 성가시겠지만 어쩌겠어요
살 구부러진 검정 우산에게도 이제 걱정 말고 편히 쉬라고 해주세요
귀 어두운 옆집 할머니와 잘 지내라고 전해주세요
더는 널어 말릴 양말도 속옷 빨래도 없으니 늦여름 햇살들께서도 고
추 말리는 데나 거들어드리세요
해남군 송지면 해원리 서정리 미황사 앞
2.
죽는다는 일은 도대체 무슨 일인가요 그래서 어쩌란 말인가요
버뮤다 삼각지대 같은 안 보이는 무슨 깔때기 같은 것이 있어
그리로 내 영혼은 빨려나가는 걸까요
아니면 미닫이를 탁 닫듯이 몸을 털썩 벗고 영혼은
건넌방으로 드는 걸까요
아이들에게 말해주세요
마당에서 굴렁쇠도 그만 좀 돌리라고
어지럽다고
3.
슬픔 너머로 다시 쓸쓸한
솔직히 말해 미인은 아닌
한없이 처량한 그림자만 덮어쓰고 사람 드문 뒷길로만 피하듯 다니던
소설공부 다니는 구로동 노동자 공아무개 젖먹이를 도맡아 봐주던
순한 서울 여자 서울 가난뱅이
나지막한 언덕 강아지풀 꽃다지의 순한 풀밭
응, 나도 남자하고 자봤어, 하더라는
그 말 너무 선선하고 환해서
자는 게 뭔지 알고나 하는 소린지 되려 못 미덥던
눈길 피하며 모자란 사람처럼 웃기나 잘하던
살림솜씨도 음식솜씨도 별로 없던
태정 태정 슬픈 태정
망초꽃처럼 말갛던 태정
4.
할머니 할아버지 곁에서 겁많은 귀뚜라미처럼 살다 갔을 것이다
길고 느린 시간이 천천히 흘러가는 것을 마루 끝에 앉아 지켜보았을
것이다
한 달에 5만 원도 안 쓰고 지냈을 것이다
휴대폰도 인터넷도 없이
시를 써 장에 내는 일도 부질없어
그저 조금만 먹고 거북이처럼 조금만 숨 쉬었을 것이다
얼찐거리다 가는 동네 개들을 무심히 내다보며
그 바닥의 초본 식물처럼 엎드려 살다 갔을 것이다
이제 더는 아무도 궁금해하지 않을
그 집 헐어진 장독간과 경첩 망가진 부엌문에게 고장난 기름보일러
에게
이제라도 가만히 조문해야 한다
새삼 슬픈 시늉은 할 건 없겠으나,
-2015년 『올해의 시』p35~39.
* 김태정(1963~2011), 서울에서 태어나 2011년 9월 6일 해남에서 세상을 떠났다. 시집 『물푸레나무를 생각하는 저녁』(창작과 비평 2004) 한 권을 남겼다. 생전에 모 문화재단에서 5백만 원을 지원하려 하자, 쓸 데가 없노라고 한사코 받지 않은 일이 있다. 그의 영가는 미황사에서 거두어주었다. -『창작과 비평』2013년 가을호.
가끔 시인답게 사는 것이 무엇인가 생각해봅니다. 세속적인 욕심 부리지 않고 자연과 하나 되어 조용하게 사는 것이 시인답게 살아가는 것이겠지요? 말이 쉽지 현대사회에서 그렇게 사는 일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그래도 진짜로 그렇게 살아가는 사람들이 있어서 우리를 부끄럽게 하지요. 시인 김태정은 온몸으로 시인다운 삶이 무엇인가를 보여주고 우리 곁을 떠났습니다. (최형심)
----------------
* 최형심/ 2008년 『현대시』로 등단. 2009년 아동문예문학상 동화부문 수상. 2012년 한국소설신인상 수상. 시선집『2015 올해의 시』
'잡지에서 읽은 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탑_미얀마 순례/ 이영식 (0) | 2015.10.03 |
---|---|
그리고/ 최 준 (0) | 2015.09.30 |
이성혁의 시 읽기/ 실종 : 한용국 (0) | 2015.09.21 |
백색_모서리를 읽다/ 임봄 (0) | 2015.09.21 |
도로, 빙하기/ 김영 (0) | 2015.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