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일보》발행일 2020-4-28 제18면
[시인의 꽃]할미꽃/ 권성훈(문학평론가, 경기대 교수)
할미꽃
정숙자 (1952~)
그 누가
밉게 보았나
저리도 다소곳이
고운 여인을
-전문,『감성채집기』, 1994. 한국문연
▣ 못생긴 나무가 산을 지킨다는 말은 눈에 보기 좋고 사랑스러운 것들을 우선 취하려고 하는 물욕으로 인해 생긴 말이다.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꽃들도 사실상 그러한 것들을 곁에 두고 싶어 하는 인간의 욕망이 산과 들에 있는 꽃들을 옮겨 심거나 개량한 것에 불과하다.
4월과 5월에 개화하는 공경과 슬픈 기억, 전설 등의 꽃말을 가진 할미꽃은 그 이름 만큼이나 박대받은 불쌍한 꽃이 아닐 수 없다. 전해 내려오는 할미꽃에 얽힌 전설 또한 할머니가 등장하는데 그것은 공경의 대상이 아니라 자식들에게 버림받고 난 후 죽어서 피어난 슬픈 꽃으로 묘사된다. 그래서인지 양지바른 무덤가 허리 굽어 피어나는 이 꽃은, 꽃대가 굽어서 할미꽃이 된 것이 아니라 꽃이 지고 나서 백발의 할머니 모습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이름과 유래를 알기 전으로 돌아가 이 꽃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그 누가/ 밉게 보았나"라는 새로운 자각과 "저리도 다소곳이/ 고운 여인을" 만날 수 있는, 인식의 반전이 생길 것이다. 그렇다면 관습화된 것으로 오만과 편견이 자리할 수 있다는 것이니, 이처럼 정보만으로 섣불리 판단한다는 것은, 불행히도 미적인 본질을 스스로 포기한다는 말이다.▩ (권성훈/ 문학평론가, 경기대 교수)
--------------
* 경인일보/[시인의 꽃]할미꽃/ 발행일 2020-4-28 제18면
'평론가가 읽은 나의 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령_소수자와 윤리(시: 김소월, 랭스턴 휴즈, 정숙자) (0) | 2020.09.25 |
---|---|
박동억_사랑의 실천(전문)/ 꽃병 속의 피 外 : 정숙자 (0) | 2020.08.17 |
김조민 시인이 만난 오늘의 시/ 무인도 : 정숙자 (0) | 2019.11.12 |
송기한_주조의 부재와 시의 내면화 경향(발췌)/ 이슬 프로젝트-43 : 정숙자 (0) | 2019.03.26 |
정옥임의 시(詩)산책/ 이슬 프로젝트- 42 : 정숙자 (0) | 2019.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