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고 시인의 시

장석원_헤비메탈 같은 진이정(발췌)/ 제목 없는 유행가 : 진이정

검지 정숙자 2017. 4. 20. 03:11

 

 

    제목 없는 유행가

 

    진이정 (1959-1993, 34세)

 

 

  죽음의 골짜기로 스미는

  착한 물의 잠처럼

  그대는 찾아왔네

  그렇게

  맞아들일 새 없었네

 

  눈부처에 어린

  그대 속눈썹, 내 영혼 빗질하네

  들이마시네 난

  기침 한 번 못한 채

  먼지,

  먼지 날리네

  애욕의 고 미세한

  알갱이들……

 

  천근의 눈까풀, 그대여

  내 무얼로

  마다하리

  어찌, 그댈 차마 떠올릴 수 있으랴

 

  이제 죽지 않는 자,

  그대만이 사랑 마다하리

  오 사랑 없는 자여, 당신 홀로

  영겁토록 죽지 않으리라

    -전문-

 

 

  헤비메탈 같은 진이정(발췌) _ 장석원

  진이정의 "인생은 재즈라기보단 헤비메탈"(「거꾸로 선 꿈을 위하여 2」) 임이 분명하다. 삶을 헤비메탈로 바꾼 시인의 푸가를 듣는다. 그의 시가 빨아들인 죽음의 이미지를 열거하기란 어렵지 않다. 그 생생한 감각이 현실이 되는 순간, 공포, 광기, 처형되어 세계를 구원하려는 자의 처연한 슬픔. 진이정은 우리에게 죽으라고 말하지 않는다. 너희는 왜 패배하였느냐고 묻지 않는다. 그는 우리를 비난하지 않는다. 우리는 진이정의 검은 눈을 목격한다. 그가 창조한 "죽음의 골짜기로 스미는/ 착한 물의 잠" 속으로 들어가 치유를 경험한다. 그는 우리가 잃어버린 시의 순수를 되살린다. 그는 우리가 잊고자 애썼던 시의 본질을 발굴해 낸다. "그대는 찾아왔네/ 그렇게/ 맞아들일 새 없"이 당도했네. 진이정은 "애욕의 고 미세한/ 알갱이들"을 매만지고, 우리는 사랑의 미시에 눈을 감고, 시의 눈에 안대를 채우고, 쓰인 그것이 시인지 아닌지 따지지도 않고, 시 유통 기계에 시를 넣고, 팔리는 상품이 되든, 한 번도 사용되지 않고 폐기되는 쓰레기에 불과하든, 열심히, 시를 생산한다. 나의 시는 결국, 쓰레기입니다. 당신의 시는 쓰레기가 아니었으면 좋겠습니다. 시를 타락시킨 자, 나에게 진이정이 말한다. "이제/ 죽지 않는다,/ 그대만이 사랑 마다하리"라고. 불멸은 형벌이다. 사랑을 잃은 자에게는 형벌도 없는 죄뿐. 죽지 않을 것이라는 저주. 시를 배반한 자여, "당신 홀로/ 영겁토록 죽지 않으리라"는 진이정의 예언. 돌아본다. 타락한 시인들이 많다. 그들보다 더 사악한 나에게 오로지 죄 있을진저. 진이정이 나의 'the cure'이다. 진이정이 오늘의 시인들에게 벌을 선사한다. 죽은 진이정의 몸을 만진다. "난 내 욕정의 조국에만 충성할 거야. 난 내 본능의 비상소집에만 응소할 테야"(「사람, 노릇, 하기란, 너무나, 힘들어」)라고 선언하는 청춘의 벌건 헐떡거림 때문에 몸이 달아오른다. 

 

    ----------------

  *『계간 파란2017-봄호 <issue>에서

  * 장석원/ 2002년 《대한매일신문》을 통해 시인으로 등단, 시집『아나키스트『리듬』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