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지에서 읽은 시

주영중_이 집의 주인은 누구인가?(발췌)/ 밤의 벌레들 : 황유원

검지 정숙자 2024. 9. 9. 01:24

 

    밤의 벌레들

 

    황유원

 

 

  불을 켜자마자 혼비백산하여 도망치는 벌레들이 있습니다

  자, 한번 생각해봅시다

  당신이 불을 켜기 전 벌레들이 담겨 있던 어둠은

  얼마나 아늑하고 그윽한 것이었겠습니까?

  혼비백산하여 도망치는 벌레들을 미안한 마음으로 바라보며

  그러나 말이 통하지 않아 사과도  할 수 없다는 사실에

  망연자실해하며 자, 한번 곰곰이 생각해봅시다

  당신이 불을 켜기 전 벌레들은 얼마나 천천히

  얼마나 우아하게 이 욕실 바닥 위를 기어다니고 있었겠습니까?

  그 바닥에 자신들을 해할 것은 아무래도

  없을 거라는 생각에 안도하며

  세상 편안한 마음으로 스멀스멀 기어다니고 있었을 거라

  이 말입니다. 그렇지 않겠습니까?

  당신이 불을 켜자마자

  갑자기 없던 혼이라도 생겼다 빠져나간 듯

  그렇게 급조된 영혼이 황급히 빠져나가는 통에 미처 그 영혼과

  인사도 못하고 병신이 돼버린 벌레들이

  발발발 여기저기 흩어지는 걸 죄지은 마음으로 바라보며

  자, 다시 한번 잘 생각해 봅시다

  당신이 불을 켜기 전 벌레들을 뒤에서

  옆에서 앞에서

  감싸고 있던 그

  그윽한 고독과 어둠을

  그 어둠의 우월함에 대해 한번 말입니다

  생각만 해도 사방에서 당장 밀어닥칠 듯한

  그 물 샐 틈 없는 어둠 속 고독……

  당신은 거실에서 혼자 눈 감고 음악을 듣고 있었는데

  퇴근 시간이 훨씬 넘어서까지 밥도 못 먹고 일한 당신은

  마침내 집에 도착해 깨끗한 빈속에 깨끗한 음악을 채워 넣고 있던 참인데

  갑자기 유리창에 커다란 짱돌이 날아와 그 정적을 한순간에 모두 깨뜨려 놓고

  그 틈으로 바람이 숭숭 새어 들어오는 겁니다

  완벽히 고여 있던 음악은 깨진 창 틈새로 술술 빠져나가고 

  당신은 갑자기 어쩔 줄 몰라 하며

  사라지는 음악을 두 손으로 움켜잡아 보지만

  그 음악은 이미 찬바람의 손에 잡혀 갈가리

  찢겨진 후······

  자, 한번 생각해봅시다 그리고 깊이 공감해봅시다

  당신에게는 깊은 공감 능력이 결여되어 있습니다

  '벌레 같은'이라는 관용구를 그 뜻도 모르면서 아무렇게나 사용하는 당신

  자, 마침내 화장실 변기에 앉아 생각에 잠겨 있는 당신

  준비는 완벽합니다 준비라고 따로 할 게 없군요

  그러니 한 번 두 눈을 감고

  이미 다 사라져버린 벌레들을 마음속으로 뒤쫓아가

  그 단단한 껍질 속으로 들어가봅시다

  벌레의 내장 깊은 곳에 아직 조금은 남아 있을 어둠을 찾아

  그 속에 들어앉아

  아직 채 가라앉지 못한 떨림 속에서

  아까 듣던 그 음악을

  계속

  이어서 들어봅시다

     -전문-

 

    ▶이 집의 주인은 누구인가?(발췌)_주영중/ 시인

    황유원의 「밤의 벌레들」에서 인간 화자는 벌레에 대해 다르게 반응한다. 그는 벌레가 어둠의 주인이라는 사실을 그대로 인정하는 듯하다. 이 집은 그러니까 인간과 벌레, 벌레와 인간 모두가 살아가는 함께  공간이 된다. 오히려 인간 화자는 '아늑하고 그윽하게' '어둠과 고독'을 즐기던 벌레들의 시간을 방해한 것에 미안해하고 죄스러워한다. 그건 마치 거실에서 혼자 눈을 감고 음악을 들으며 물샐틈없는 어둠 속 고독을 느끼던 인간 화자가 갑자기 유리창을 깨고 들어온 짱돌에 그윽하게 누리던 휴식의 시간을 방해받는 당혹스러움과 절망을 느끼는 상황과 다르지 않은 것이이에.

    현대인은 어느 시대보다 '공감'이 사라진 시대를 살고 있다. 자극적인 사건과 이야기들이 넘쳐나는 시대에 현대인의 감각과 감정은 무뎌지고 퇴화하고 있는지 모른다. 웬만한 자극에도 마음이 움직이지 않는 무감각한 시대. 무뎌진 것인지, 피곤한 것인지, 바깥으로 마음을 내줄 만한 여유가 없는 것인지, 팍팍한 현실에 사랑은 무뎌지고 공감 능력은 줄어들고 있다. "깊은 공감"은 말해 무엇하랴. 게다가 그것이 혐오스럽고 징그러운 벌레에 대해서라면 인간보다 하등하다고 믿는 벌레애 대해서라면. 공감은 언감생심이다.

  그런 시대에 "깊은 공감"을 재현하는 인간 화자에 대한 이야기가 여기에 있다. 벌레의 "단단한 껍질 속으로 들어가" 벌레의 내장, 벌레의 절망감 속으로 진입할 것을 청유하는 인간 화자는 다소 낯설다. 참으로 어려운 일을 수행하려는 청유는 그만큼 우리에게는 멀고도 어려운 일이다.

    "깊은 공감"은 어쩌면 이생에서 이루어 내는 순간적인 윤회는 아닐까. 엉뚱한 상상을 해 본다. 잠시 내가 아닌 존재로의 전회가 이루어지는 순간은 불가능한 시도일 듯도 하지만 한편으로 생각하면 가능한 시간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은 다만 나만의 착각일까. 이 집의 또 다른 주인, 벌레들의 후손을 생각해 보는 밤이다. 나도모르게 저  어둠의 깊은 공간으로 옮겨 앉는 밤이다. (p. 시 5-7/ 론 7-8) 

 

 -------------------

  『계간파란』 2024-여름(33)호 <essay 내가 훔치고 싶은 시 한 편> 에서

  * 황유원/ 2013년 『문학동네』로 등단

  * 주영중/ 2007년 『현대시』로 등단, 시집『결코 안녕인 세계』『생환하라 음화』『몽상가의 팝업스토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