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시가

베틀 노래 2_대구시 민요 · 45/ 상희구 해제

검지 정숙자 2021. 2. 11. 21:54

 

    베틀 노래 2

   

    [대구시 민요 · 45]

 

    출전: 한국구비문학대계 대구직할시편

 

    대구시 서구 중리동

    1983. 8. 박계주. 여. 69. 구술 

  

   -----------------------

    해제 : 상희구/ 시인

   

    [요점 풀이]

 

  바람 솔솔           부는 날

  구름 둥둥           뜨는 날

  월궁에               놀던 선녀

  옥황님 전에        죄를 짓고

  민간民間에         내려와서

  할 일이              전혀 없어

  금사金絲 한 필    짜자 하고

  월궁에               치치달아

 

  달 가운데           계수나무

  금도끼를            찍어내어

  옥도끼를            볼을 쳐서

  앞집에               금대목金大木아 

  뒷집에               이대목李大木

  우리 집에           들어와서

  밥도 먹고           술도 먹고

  야철반족            대통대로

  담배 한 대          피운후에

  비틀 한 대          지어주소

 

  먹줄을               골라놓아

  곧은 나무           곱따듬고

  굽은 나무           굽따듬고

  은대패를            밀어달아

  얼른 뚝딱           지어내니

  베틀이사            좋다마는

  놓을 자리           전여없어

  좌우를               둘러보니

  옥난강이            비었구나

  비었도다            비었도다

  옥난강이            비었구나

 

  옥난강에            베틀 놓아

  앞 두 다리          돋우어 놓고

  뒷 두 다리          낮게 놓아

  구름 달에           잉애 걸고

  왕개 속에           꾸리 삼아

  낙삼을               밟아차고

  앉일개라            앉인양은

  양귀비에            넋이로다

   (중략)

 

  바디집               치는양은

  양향국사            자기네 집에

  연목거는            소리로다

  북이라               나는양은

  청학이               알을 안고

  대운강을            넘나는 듯

   (후략)

 

  예로부터 부부 사이를 내외간內外間이라 하여 집안 살림은 아내가 맡고, 바깥일은 순전히 남편 몫이었다. 그래서 호칭도 아내 쪽을 내자內子, 안사람, 안방마님이라 부르고 남편 쪽은 바깥양반, 바깥영감 등으로 불러, 서로간의 할 일을 엄격히 구분하였다. 대개, 옛날 집안의 여인들이 해야 할 일이란, 중요한 세 가지가 있었으니, 육아와 부엌일, 길쌈하기 등 세 가지가 있었다. 이들 세 가지 일은 모두가 너무나 막중하여 이 중 한 가지 일도 소홀히 할 수가 없는 처지였다. 특히 길쌈은 목화 경작에서 시작하여, 누에치기, 베짜기 등의 직물 생산과정을 통틀어 이르는 말로, 앞의 모든 준비 과정은 모두가 베를 짜기 위하여 거쳐야 할 필수 코스이기도 해서, 이처럼 베짜기는 집안 여인들이 갖는 중요한 책무이자 덕목으로까지 치부되었다. 그래서 여인과 베틀은 서로가 뗄래야 뗼 수 없는 관계가 되었으며, 더우기 여인들의 '베짜는 일은' 때로는 모성의 상징으로, 또한 여성들의 숙명적인 恨으로도 여겨져, '추야장 긴긴 밤에 여인의 베짜는 소리' 등등으로 묘사되어, 수많은 문학과 미술의 소재로 회자되기도 하였다.

 

 

    [베틀 노래 원문]

 

  바람솔솔           부는나알

  구름둥둥           뜨는나알

  월궁에              노던선녀

  옥황님전에        죄를짓고

  먼간에              나려와서

  할 일이             전여없어

  금사한필           짜자하고

  월궁에              치치달아

  달가운데           기수나무

  금도끼를           찍여내여

  옥도끼를           볼을쳐서

  앞집에              김대목아

  뒷집에              이대목아

  우리집에           들어와서

  밥도먹고           술도먹고

  야철반족           대통대로

  담배한대           피운후에

  비틀한대           지어주소

  먹줄을              골라놓아

  곧은나무           곱따듬고

  은대패를           밀어달아

  어른뚝딱           지어내니

  비틀일사           좋단마는

  노혈자리           전여없어

  죄위를              둘러보니

  옥난강이           비었구나

  비었도다           비었도다

  옥난강이           비었구나

  옥난강에           비틀놓아

  앞두다리           도두놓고

  뒷두다리           낮기놓아

  구름달에           잉애걸고

  왕개속에           꾸리삼아

  낙삼을              밟아차고

  앉일개라           앉인양은

  양귀비에           넋이로다  

   (중략)

 

  바대집              치는양은

  양향국사           저어집에

  연목거는           소리로다

  북이라              나는양은

  청학이              알을안고

  대운강을           넘나는 듯 

   (후략)

 

                   

  * 비틀: 베틀

  * 바디: 베틀에 달린 기구의 하나. 가늘고 얇은 대오리를 참빗살같이 세워 두 끝을 앞뒤로 대오리를 대고 단단하게 실로 엮어 만듦. 살의 틈마다 날을 꿰어서 베의 날을 고르며 북의 통로를 만들어 주고 씨를 쳐서 짜는데, 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음.

  * 잉애: '잉아'의 방언. 베틀의 날실을 끌어 올리도록 맨 굵은 줄.  

 

 ------------------------

 * 대구 · 달성 시지 제9집 『우리 시누이야』에서, 2020. 12. 15. <오성문화> 펴냄

 * 상희구/ 1942년 대구 출생, 1987년 『문학정신』으로 등단, 시집 『발해기행』 『요하의 달』 『숟가락』, 연작 장시 『대구시지大邱詩誌(1집~5집), 『대구, 달성시지大邱, 達城詩誌(6집~9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