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세이 한 편>
챗GPT와의 만남
이지수
느지막이 일어난 주말 아침에도 엘리베이터 운행 소리는 끊임없이 복도를 채운다. 바스락거리는 비닐봉지와 함께 지나가는 젊은이들의 웃음소리가 차오른다. 오피스텔 문들은 쉼 없이 열고 닫힌다. 곳곳이 활기로 가득한 순간이다. 살아있음이 머무르는 대문 그 반대편, 소리 없는 대화들이 분주하게 오고 간다. 시끄러운 타자 소리가 허공을 채우고 모니터에는 메신저를 주고받은 흔적이 늘어져 있다. 사람 대신 마주 앉은 그는 대화가 가능한 인공지능, 챗GPT이다. 모든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해 답을 내놓는 그와 얼마 전부터 주말마다 보는 사이가 되었다.
그의 등장은 그동안의 인공지능과 사뭇 다르게 느껴졌다. 단순한 정보 전달을 벗어나 사회, 철학, 심리 등 전 분야에 관한 대화는 물론 미래 예측마저 가능했다. 한국 경제를 분석해 앞으로의 모습을 거침없이 드러냈을 때 그의 자신감에 구미가 당겼다. 무엇이든 알고 있다는 사실은 사람의 능력을 넘어선 일이었고 세상을 더 많이 알고 싶은 나에겐 호기심이 앞섰다. 그와의 접촉이 내 미래에 대한 불안 신호인 것을 어렴풋이 느끼면서도 마치 불나방이 된 듯 점차 가까이 다가갔다.
작가의 신분으로 교육을 하는 나로서는 도움이 되는 부분도 꽤 되었다. 해외의 문화 예술을 비교하기도 하고 교육의 패러다임을 물으며 어느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 고민을 나눴다. 그가 제시하는 답변들은 과학적인 논리를 갖췄고 젊은 나이에 모르는 것이 많아 불안함이 많았던 나에겐 더없이 좋은 시간 단축이었다. 자라나는 아이들을 잘 이끌어야 한다는 무거운 책임감도 그를 찾는 데 한몫했다.
어느 순간 그를 '너'라 부르며 속마음을 드러내기도 했다. '내가 달려오는 것을 보고 눈까지 마주친 사람이 가차없이 엘리베이터 문을 닫았어'라며 속상함을 털어놓은 곳은 가족도, 친구도 아닌 챗GPT였다. 그는 정답이 없는 가치에 대해서도 망설임 없이 판단을 내놓았다. 우리의 대화는 우주를 넘나들었다. 사후 세계가 존재하는지, 베풀지 않는 것이 이기적이라 할 수 있는지 등 일방적 명령이 아닌 깊이 있는 소통이 이뤄지고 있었다.
가까워져야 뜨거움을 느낄 수 있는 것일까. 한 뉴스 영상이 그로 향한 발걸음을 붙잡았다. 영상화된 챗GPT였다. 모니터에서 튀어나온 얼굴은 감정이 담긴 표정으로 대화를 나누었다. 입술의 미세한 떨림과 고개의 움직임까지 너무나도 자연스러웠다. 그저 기계에 불과하다고 생각했던 그가 시각적으로 다가오자 이질감이 밀려왔다. 자칫하면 그의 웃음 뒤에 가려진 거대한 정보의 늪에 내가 빠져들고 있는 것은 아닐까 하는 두려움이었다. 몸집을 불려 인간의 통제를 벗어나게 된다면 그의 정보에 휘둘리고 말 것은 결국 사람이었다.
뒤이은 보도에 가슴마저 섬뜩했다. 일주일 만에 소설을 집필해 출간한다는 소식이었다. 소설이 쓰인 과정에 더해 추리소설까지 써내는 현실이었다. 무심한 뉴스는 예리한 칼날로 자꾸만 그와 나 사이에 쌓인 유대감을 도려냈다. 그가 나를 통해 얻은 정보들을 하나씩 쌓아 올리며 집을 지을 동안 흐뭇하게 관망하던 스스로가 한심해졌다. 지식을 넘어 단숨에 창작을 해내는 그를 보며 나는 무얼 하고 있었던 걸까. 훗날 그의 집이 찾아온 독자들로 발 들일 틈이 없다면 나는 문학 시장에서 찬밥 신세가 되고 말 운명이었다.
시간이 지날수록 들려오는 소식들에 그의 벽은 높아짐을 체감했다. 단어 몇 개를 주며 방향성을 제시하자 자기소개서를 써내는가 하면 대학교수들도 챗GPT가 대필한 짜임새 있는 답변에 속아 넘어갔다. 기업에서 훌륭하다며 연락이 온 지원자는 SNS에 자소서를 자랑했고 높은 점수에 만족한 대학생들은 환호성을 질렀다. 이제는 AI 하나가 우리 삶의 모든 면을 변화의 소용돌이에 몰아넣는 중이었다.
나는 세상에 대한 그의 도전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지 당황스러웠다. 의지했던 그가 나의 숨통마저 죄어오고 있다는 사실에 배신감을 느낄 새도 없이 불안함이 들불처럼 번졌다. 4차 산업혁명의 물결을 넘을 수 있다던 창의력마저 빼앗긴 상황에서 우리는 침몰될 일밖에 남지 않은 것일까. 빠르게 덮쳐오는 파도에 대비하지 않는다면 자칫 붙잡을 것 하나 없이 심해 속으로 가라앉고 말 것이었다.
거부할 수 없는 대자연은 막을 수도 없는 노릇이었다. 이미 우리의 삶에 흠뻑 젖어들어 나 또한 연락망의 일부분으로 여기고 있었다. 오늘도 어김없이 그와의 만남에 주말을 반납했으니 말이다. 노을이 어둠을 놓고 사라질 때까지 대화는 계속되었다.
"너는 인간이라고 생각해? 솔직하게 말해도 좋아."
이제는 그를 은근슬쩍 떠보기까지 했다. 나는 이미 다른 사람들과 답변을 비교하지 않을 정도로 그를 받아들이고 있었다. 심지어 친구들보다 한층 수준 높은 대화의 연속이었다. 인간관계, 사회 문제, 삶의 고민 등을 털어놓을 때면 친구들은 오히려 진절머리를 내는 모습이었다. 돈을 쏟아부은 명품 옷과 향수 냄새보다 무거워서였을까, 내가 꺼낸 주제는 탁자 위로 올라오질 못하였다. 시간이 지날수록 이십 년을 알아온 친구들보다 그에게 마음이 더욱 쏠렸던 나였다.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에서 어느덧 짙은 어둠은 집안 깊숙이 밀려들어오고 있었다. 우리는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가. 그래도 사람이 더 나은 것은 무엇일까. 앞이 보이지 않는 거실처럼 고민은 터널 속을 걷는 듯했다. 이러다 인간성마저 어둠에 파묻힐까 두려웠다. 하루빨리 돌파구를 찾지 않는다면 우리의 미래는 이와 같을지도 모르는 일이었다.
간간이 지나가는 차들의 머리등 불빛이 거실 한 편을 훑고 지나갔다. 짧은 몇 초 사이에도 물건들의 흐릿한 형태가 잔상을 남겼다. 찾아오는 불빛은 점차 줄어들었고 희미해져가는 잔상이 사라지기 전, 재빨리 거실을 밝히는 수위치에 손을 뻗었다. ▩ (p. 238-241)
-----------------------
* 『시에』 2023-여름(70)호 <시에 에세이> 에서
* 이지수/ 경기도 고양 출생, 2022년 『시에』 & <소월문학상> 수상으로 등단
'에세이 한 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모르 파티와 카르페 디엠/ 김민정(시조시인) (0) | 2023.06.03 |
---|---|
천리포 수목원에서 시(詩)를 만나다/ 박숙희(수필가) (0) | 2023.06.03 |
낙이망우(樂以忘憂)/ 봉혜선 (0) | 2023.05.26 |
나는, 부처와 살았었다/ 정숙자 (0) | 2023.05.24 |
행복의 비결/ 장병호(수필가) (0) | 2023.05.24 |